목록CS (73)
꾸준히 안타치기

youtu.be/0qrnrGmxeFw 반복적으로 확인해야할때 while을 사용한다. youtu.be/tHldoO_UQ8Q do while while에서 참을 확인하고 / 맞으면 do로 가서 다시 실행 do{ 조건식 연산결과가 true일때 실행되는 문장 if(false){ 조건식이 맞지 않다면, "다시 입력하기를 출력하세요" ; } } while (조건식 내용);

youtu.be/-MrlWt4uT5Y %5 -> 전체길이는 5개이다.(87.99) '.' 포함 넘어갈 경우 밀리게 됨. 정수를 정수로 나누면, 정수로 나옴. (11분~) 실수를 실수로 나눠야 소수점이 나옴. youtu.be/o29tk2713gM 7분 35초 부터 printf를 사용한다. d= 정수 / f = 실수 / s = 문자열 1,2,3 의 나오는 순서도 바꿀수 있다. // 숫자에서 문자로 바꾸기 String si = Integer.toString(i) String sf = Float.toString(f) String sl = Long.toString(l) String sd = Double.toString(d) // 문자에서 숫자로 바꾸기 int i = Integer.parseInt(si); floa..

youtu.be/B0fVLn1IO2w 공통분모는 = 추상클래스(캡슐 단위의 공통 기능 집중화) 추상화를 통해 코드 집중화를 할 수 있고, 일괄 처리 할수 있다. youtu.be/Y0okhvvl29U

youtu.be/kj33guVJuso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상속을 사용. 30분/ ~ 클래스 부터 다시 이해하기. ?오버라이드 ?추상클래스는 new로 만들수가 없다.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는 다중상속 효과를 낼 수 있다. 유연한 확장 가능 ? instandceof ? 제네릭

실행중인 매서드를 종료하고 호출한 곳으로 되돌아간다. void일때만 생략가능!!!!!!!!!!!!!!!!! void가 아니면 꼭 리턴해야함 참일때와 거짓일때 모두 return문을 작성해주어야함.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여러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형태가 같은 자료를 줄세워 둔 '자료구조' 중 하나. float 로 바꿔서 나누어야함. / int -> float형변환 생각해야함. int[] numArr ={0,1,2,3,4,5,6,7,8,9,}; for (int i =0; i
enter.tistory.com/26
컴퓨터란?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 중앙 연산 처리 장치 Ram: Random Access Memory / 무작위 접근 메모리 / 주기억장치 상대적으로 빠르고 비싸고, 잠깐저장 CPU가 시킨 명령을 램이(잠시저장) 저장하고 있다가 하드(영구저장)에게 전달한다. 램이 중간역할 Main Board : 주요한 판때기 / 7가지 주요장치들을 고정하고 연결해주기 위한 장치 SSD : Solid State Drive / 고체의 State 구동장치 / 보조기억장치 싸고,느리고, 영구저장 HDD : Hard Disk Drive / 고체의 편편한 원판 구동장치 / 보조기억장치 GPU : Graphic Processing Unit / 그림이나 사진을 처리하는 장치 power supply: ..

예외처리란? 예외(일반적인 규칙에서 벗어남) 처리 -> 자바에서의 예외란 오류를 뜻함 예외처리란? 오류 처리를 뜻함 오류란(이치에 어긋난것)-> 프로그램상에서 오류는== 에러 사용하는 이유는 미리 오류를 대비하고, 비정상적인 종료를 막기위해서 사용 1. 특정 메소드는 실패할 경우가 있다. 2. 인터넷이 끊겼거나, 사용자의 입력값이 이상할때 등을 대비 3. 실패시에 자연스럽게 대처하는 코드를 만들어준다. https://youtu.be/Daf-34kapFs try선언에는 3종류가 있다. http://www.tcpschool.com/java/java_exception_intro catch 블록과 finally 블록은 선택적인 옵션으로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적합한 try 구문..

쓰레드가 무엇일까? 실행되는 코드의 흐름 , 동작하는 시간의 흐름이 있는 독립적인 코드이다. 코드로 이루어진 명령문들이 동작하는 독립된 흐름의 단위, 동작이 실행되는 덩어리 한번에 여러 가지 코드를 동시에 동작하게 하게 하는것처럼 보이게 할수 있어서 사용 동시동작을 표현하고 싶을때 사용 쓰레드를 만드는 두 가지 방법 Thread >>Thread 클래스를 확장하는 클래스는 / 다른 클래스 상속을 받을 수 없다. Runnable인터페이스를 구현은 -> 다른 클래스를 확장해야할때 사용한다. (Runnable인터페이스란 몸체가 없는 메소드인 run() 메소드 단하나만을 가지는 인터페이스이다.) interface뜻: 상호작용 오버라이딩이란(사전: 재정의하다.) 상속관계가 있는 클래스간에 같은 이름의 메소드를 정의..

GUI란? graphical user interface 도표, 그림,문자로 쓰는 / 사용자 / 상호작용 > 그림,문자,도표로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것 AWT(Abstract Window Toolkit) / SWING(그네). 상위모델 추상하다. (여러 가지 사물이나 개념에서 공통되는 특성이나 속성 따위를 추출하여 파악하는 작용) -> OS의 컴포넌트를 추출해서 사용 어떻게 사용? 1. 프레임을 만들고 (컨테이너) 2. 패널을 붙여 사용( 패널안에 버튼,텍스트필드,체크박스,레이블 등을 담을 수 있음) 3. main()메소드에 작성. 1)AWT(Abstract Window Toolkit) 추상하다. (여러 가지 사물이나 개념에서 공통되는 특성이나 속성 따위를 추출하여 파악하는 작용) 윈도우 / 도구수단/ 상..
매개변수란? 매개의 의미는 중간에서 양쪽의 관계를 맺어 주는 것. 입력/ 입력값을 위한 도구 ( 매개변수 ) = 파라미터 parameter 매개변수(parameter)란 함수의 정의에서 전달받은 인자를 /함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변수를 말한다. 매개변수는 메소드, 또는 생성자를 선언할 때, 괄호 안에 적으며, 어떤 입력값이 들어올지 값의 형태를 정의해준다. 매개변수는 실제로 값이 존재하지는 않고, 어떤 형태로 입력값이 들어올것인지를 정의해 준다. 인자란? 인자의 뜻은 어떤 사물의 원인이 되는 낱낱의 요소나 물질. 함수가 호출될때 함수로 값을 전달해주는 값을 말함 인자는 메소드, 또는 생성자를 호출할때, 괄호 안에 적으며 미리 선언해 두었던 매개변수에 값을 대입해준다. 인자는 매개변수에 대입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