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안타치기
2346 - 풍선 터뜨리기 💭 본문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2346
1번부터 N번까지 N개의 풍선이 원형으로 놓여 있고. i번 풍선의 오른쪽에는 i+1번 풍선이 있고, 왼쪽에는 i-1번 풍선이 있다. 단, 1번 풍선의 왼쪽에 N번 풍선이 있고, N번 풍선의 오른쪽에 1번 풍선이 있다. 각 풍선 안에는 종이가 하나 들어있고, 종이에는 -N보다 크거나 같고, N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하나 적혀있다. 이 풍선들을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터뜨린다.
우선, 제일 처음에는 1번 풍선을 터뜨린다. 다음에는 풍선 안에 있는 종이를 꺼내어 그 종이에 적혀있는 값만큼 이동하여 다음 풍선을 터뜨린다. 양수가 적혀 있을 경우에는 오른쪽으로, 음수가 적혀 있을 때는 왼쪽으로 이동한다. 이동할 때에는 이미 터진 풍선은 빼고 이동한다.
예를 들어 다섯 개의 풍선 안에 차례로 3, 2, 1, -3, -1이 적혀 있었다고 하자. 이 경우 3이 적혀 있는 1번 풍선, -3이 적혀 있는 4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5번 풍선, 1이 적혀 있는 3번 풍선, 2가 적혀 있는 2번 풍선의 순서대로 터지게 된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차례로 각 풍선 안의 종이에 적혀 있는 수가 주어진다. 종이에 0은 적혀있지 않다.
출력
첫째 줄에 터진 풍선의 번호를 차례로 나열한다.
예제 입력 1
5
3 2 1 -3 -1
예제 출력 1
1 4 5 3 2
💡 이 문제를 보고 내가 생각한 것들, 생각한 순서
N 터진 풍선의갯수 입력 받기
양수가 적혀있으면 오른쪽, 음수가 적혀있으면 왼쪽으로 이동
인덱스 번호가 있어야함
💡 어떤 자료구조를 택했고 그 이유는?
양수와 음수방향으로 움직이므로 양면 큐를 사용하는 덱을 사용
💡 풀이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q = deque(enumerate(map(int, input().split())))
ans = []
while q:
idx, paper = q.popleft()
ans.append(idx + 1)
if paper > 0:
q.rotate(-(paper - 1))
elif paper < 0:
q.rotate(-paper)
print(' '.join(map(str, ans)))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 enumerate를 사용해서 index와 풍선에적힌 숫자를 튜플로 저장할수 있게함
q = deque(enumerate(map(int, input().split())))
ans = []
while q:
idx, paper = q.popleft()
#숫자는 0부터시작이므로 + 1
ans.append(idx + 1)
# 종이 적힌값이 양수라면
if paper > 0:
# 반시계방향으로
q.rotate(-(paper - 1))
# 종이 적힌값이 음수라면
elif paper < 0:
# 시계방향으로
q.rotate(-paper)
# 문자열, 합쳐서 리스트에 담기
print(' '.join(map(str, ans)))
💡 문제에서 중요한 부분
튜플로 인덱스와 값을 입력할때 enumerate를 사용한다.
- enumerate 사용 전deque([3, 2, 1, -3, -1])
- enumerate 사용 후deque([(0, 3), (1, 2), (2, 1), (3, -3), (4, -1)])
- 덱에 인덱스와 종이 값이 튜플로 묶여서 하나의 원소로 저장된다.따라서 idx, paper = q.popleft()를 하면 idx에는 0이, paper에는 3이 저장된다.
- deque.rotate() 개념???????
rotate(-1)은 원형 큐를 반시계방향으로 1칸 회전시키고, rotate(1)은 시계방향으로 1칸 회전시킨다고 생각하면 쉽다.
https://velog.io/@hygge/Python-백준-2346-풍선-터뜨리기-deque
[Python] 백준 2346 풍선 터뜨리기 (Deque)
터진 풍선의 '번호(인덱스+1)'를 출력하는 문제이므로 pop을 하더라도 초기 인덱스 정보는 끝까지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enumerate가 사용되었다. enumerate 사용 전과 후의 덱 상태를 비교해보자
velog.io
'CS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35. 후위 표기식2 (stack) (0) | 2022.07.14 |
---|---|
2476 - 주사위게임 / 2480 - 주사위 세개 (0) | 2022.07.14 |
1835 - 카드(deque) 💭 (0) | 2022.07.12 |
2164 - 카드2 ( queue, deque ) (0) | 2022.07.12 |
9012 - 괄호(stack) (0) | 2022.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