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준히 안타치기

git명령어 , 소스트리 사용법 / 참고링크 본문

CS/git

git명령어 , 소스트리 사용법 / 참고링크

글자줍기 2023. 3. 3. 03:49
반응형

https://backlog.com/git-tutorial/kr/intro/intro6_2.html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Git 입문~버전 관리를 완벽하게 이용해보자~ | Backlog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Git에 입문하신 것을 환영합니다. Git을 사용해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함께 공부해봅시다!

backlog.com

https://coding-groot.tistory.com/135

 

[Git/GitHub] 기초적인 소스트리 사용법 정리

소스트리 사용법 정리 용어 저장소(Repository): 내가 Git 으로 관리할 폴더(디렉터리)이다 커밋(Commit): Git에서 버전을 기록하는 단위이다 커밋한다: Git에 하나의 버전을 기록한다 로컬(Local): 네트워

coding-groot.tistory.com

cherry- pick / 다른브런치에서 지정한 커밋을 복사해서 현재 브런치로 가져오기

amend / 이전에 커밋해던 내용 수정, 추가 가능

pull은 변경사항을 다운받고 내 로컬 저장소에 적용, 모든커밋은 다운로드하고 자동으로 Merge함

Pull = fetch(다운만함) + merge(합침)

 

fetch - 다운받기만 하고 적용은 안함, 실제 파일은 변하지 않는다. 한번확인하고 수동으로 Merge할 수 있다.

한번확인하고 수동으로 머지할수 있기때문에 fetch가 더 안정적이다. / fetch하고 Merge한다.


깃 터미널 명령어 / 소스트리를 사용하면 필요X

git clone  깃레포지토리 주소(https://github.com/~~~) (저장소복사)

git remote add origin + 깃주소(원격 저장소 연결)

git checkout test1 (브런치선택 )

git checkout -b "test1"(브랜치추가 하면서 선택)

git add . (깃에 추가)

git status(깃 상태 확인)

git commit - m "커밋 설명추가"

git push -u origin test1 (test1 브런치에 push)

 

git branch - d "브런치이름"

git branch  (현재브런치 확인)

git merge 브런치이름 (브런치 merge)

git log ( 이력보기)

git commit --amend (커밋내역 수정하기)


1. 기본 명령어

  • $git init
    새로운 local repository 생성
  • $git add
    새로운 repository에 저장
  • $git commit
    새로운 local repository 생성
  • $git push
    local repository를 remote repository에 업로드

2. Github에 소스코드 올리기

1) 레퍼지토리 생성

Github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repository를 생성

2) 업로드할 폴더로 이동

커맨더 창을 통해 깃허브에 업로드할 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

  • $cd 폴더경로 ( 바탕화면에서 폴더 오른쪽클릭후 터미널로 열면 그위치로 열림)

3) init

커맨더창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위의 폴더를 git이 추적할 수 있도록 .git폴더를 생성합니다. 즉, local repository를 생성함

  • $git init

4) 상태확인

git이 버전관리 대상 파일들의 상태를 파악합니다

  • $git status
  •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을 때 에러 확인
  • 내가 작업한 파일 외에 다른 파일이 수정되진 않았는지 확인

5) add

버전 관리할 파일들을 추가합니다

  • $git add .

git add 파일 명령어는 특정 파일들을 추가하는 명령어이며, 아래의 명령어는 변경 모든 파일을 local repository에 추가하는 명령어입니다.

6) commit

commit 메세지를 작성합니다

  • $git commit -m "메세지내용"
  • -m 옵션은 간단하게 한줄로 메세지를 작성하기 위함이며, 긴 메세지 작성이 필요하다면 git commit 명령어만 실행

7) remote 등록

remote repository를 등록합니다.

git remote add origin2 https://github.com/mock-rpwithsesac/bunjang_ios_june.git
  • $git remote add origin {remote repository 주소}
  • origin은 remote repository의 별칭을 의미하며, remote repository의 주소를 입력하는 것이 귀찮으므로 origin 이라는 별칭을 사용합니다.

repository의 주소는 본인의 github 주소를 입력하면 되는데, 아래 사진처럼 HTTPS를 선택한 후, 복사를 클릭하면 주소를 복사할 수 있습니다.

8) push

git push -u origin2 master

commit한 내용을 remote repository에 push (업로드)합니다.

  • $git push origin master
  • master은 브랜치(branch)의 이름이며, remote repository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master 브랜치가 생성됩니다. (참고로 브랜치는 독립적인 작업 공간을 의미하며, 브랜치 덕분에 협업이 수월해지기 때문에 꼭 알아둬야하는 개념임)

master가 아닌 다른 branch로 push하고 싶으면, 아래와 같이 master를 특정 브랜치명으로 바꿔서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

  • $git push origin{브랜치명}

9) config 설정

git을 설치한 후 특별한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Git 이메일 주소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소스 코드가 Github로 푸시가 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음.


3. 작업한 코드 올리기

위의 과정은 처음 깃허브에 코드를 올릴 때의 과정입니다.
이제 작업을 진행하면서 수정된 내용을 계속 깃헙에 업로드를 해야 하는데, 첫 push 이후에는 위의 과정을 조금 생략할 수 있음

커맨더 창에서 소스코드가 있는 폴더로 이동한 후,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git commit -m "메세지내용"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git push -u origin2 master
 
 
 
 
 
 
 
 
 
 
 
 
 
 
 
 

 

반응형
Comments